본문 바로가기

Common Sense

여행 예산 짜는 법: 항공, 숙소, 교통, 식비 비율로 똑똑하게 예산 세우기

여행 예산 계획, 왜 중요한가?

여행을 앞두고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중 하나는 예산을 세우는 일이다. 막연하게 '이 정도면 되겠지'라고 생각하다 보면 예상보다 지출이 많기 십상이다. 예산을 짤 때의 핵심은 총예산을 먼저 정하고 그 안에서 항목별로 비율을 배분하는 것이다. 총예산이 200만 원이라면 항공, 숙소, 교통, 식비, 기타를 어떻게 나눌 것인지 정해야 한다. 예산은 여행 만족도와 효율을 결정짓는 첫 단추다.

여행 예산 짜는 법: 항공, 숙소, 교통, 식비 비율로 똑똑하게 예산 세우기
여행 예산 짜는 법


 

총예산 분배의 기본 흐름

총액 설정 → 항목별 비율 적용 → 여행 스타일에 따른 비율 조정

고정 비용: 항공권, 숙소

변동 비용: 식비, 교통, 쇼핑, 투어, 비상금

 

짧은 여행일수록 항공권 및 숙소 비중이 크고 장기 여행일수록 식비와 교통의 비중이 높아진다. 또, 북유럽이나 스위스처럼 물가가 높은 지역은 식비와 숙소가 예산의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.

 

항공권 예산: 전체의 25 ~ 40%

대륙별 차이와 성수기 영향 고려

⊙ 근거리(일본·대만·동남아): 20 ~ 25% 수준

⊙ 장거리(미주·유럽): 30 ~ 40% 이상

⊙ 성수기(7 ~ 8월, 명절, 연말): 최대 50%까지 비중 상승

⊙ 비수기(2 ~ 3월, 11월): 저렴한 항공권으로 예산 절감 가능

 

항공권 절약 팁 (자세히 보기)

⊙ 출발 3 ~ 6개월 전 얼리버드 예약

⊙ 직항 대신 경유 선택 시 15~30% 저렴

⊙ 요일과 시간대 조정 (화  ~수요일, 새벽·심야)

⊙ 항공권 알림 서비스(구글 플라이트, 스카이스캐너) 활용

⊙ 편도 + 편도 조합이 더 저렴한 경우도 있음

 

 

 

숙소 예산: 전체의 20~35%

숙소 유형별 전략

호텔: 도심에 위치하고 서비스가 좋지만 비용 부담 큼

게스트하우스/호스텔: 저렴하지만 프라이버시 낮음

에어비앤비/레지던스형: 주방 활용 가능, 장기 숙박 시 할인율 큼

 

숙소 예산 줄이는 팁

⊙ 장기 숙박 할인 적극 활용 (7일 이상 10~20%, 1개월 이상 최대 40%)

⊙ 조식 포함 객실이 오히려 경제적일 수 있음

⊙ 주말보다 평일 숙박이 20 ~ 40% 저렴

⊙ 외곽 숙소 선택 시 숙박비 절감, 중심지 선택 시 교통비 절감

→ 여행 스타일에 맞게 균형 잡기

 

 

교통비 예산: 전체의 10~15%

목적지에 따라 달라지는 교통비

⊙ 일본, 프랑스, 독일 등 대중교통 발달 국가: 10% 수준

⊙ 미국, 아이슬란드 등 렌터카 필수 국가: 20% 이상도 가능

교통비 절약 & 활용 팁

⊙ 도시권 교통패스(도쿄 지하철 패스, 런던 오이스터카드 등)

⊙ 국가권 교통패스(JR패스, 유레일패스 등)

⊙ 카셰어링 서비스(Zipcar, Socar 등) 활용

⊙ 하루 한도 설정으로 지출 통제

⊙ 라이드셰어 서비스(Uber, Grab)로 택시보다 저렴하게 이동

 

 

식비 예산: 전체의 15 ~ 25%

여행 스타일에 따라 달라지는 식비

미식 중심 여행: 식비가 전체 예산의 25~35%

가성비 중심 여행: 편의점 및 푸드코트 중심으로 15~20%

 

식비 절약하면서 경험도 챙기는 법

⊙ 구글맵, 트립어드바이저, 현지 블로그로 로컬 맛집 탐색

⊙ 편의점(일본·대만), 푸드코트(태국·말레이시아) 적극 활용

주방 있는 숙소에서 간단한 조리로 외식 줄이기

현지 슈퍼 장보기로 로컬 문화 체험

 

 

기타 예산: 전체의 10~20%

기타 항목 구성

쇼핑: 선물·특산품, 명품 관광지일 경우 예산 비중 확대 필요

입장료·투어: 랜드마크, 뮤지엄, 테마파크 등 소액이지만 누적 지출

비상금: 의료비, 여권 분실 등 예상치 못한 지출에 대비

 

기타 예산 관리 팁

⊙ 투어·입장료는 사전 예약으로 최대 30% 절약

⊙ 현지 환전은 출국 전 일부 + 현지 환전소 분산 전략

⊙ 비상금은 지갑과 분리해 보관(세컨드 카드, 가방 숨겨진 포켓 등)

 

 

여행 스타일별 예산 분배 예시

배낭여행 (가성비 중심)

항공 35%, 숙소 20%, 교통 15%, 식비 20%, 기타 10%

⊙ 저가 항공, 호스텔, 교통패스로 최대한 많은 경험 추구

⊙ 목표: 최소 비용, 최대 경험

 

가족여행 (안정 중심)

항공 25%, 숙소 35%, 교통 10%, 식비 20%, 기타 10%

⊙ 숙소와 항공에 비용 집중, 편안한 동선과 안정성 확보

⊙ 목표: 안전하고 편안한 가족 여행

 

미식/호캉스 여행

항공 20%, 숙소 30%, 교통 10%, 식비 30%, 기타 10%

⊙ 숙소와 레스토랑에 예산 집중, 관광보다 체험에 투자

⊙ 목표: 휴식과 식사의 질적 경험 중심

 

 

예산 짜기 실전 노하우

예산 시트로 계획 → 기록 → 비교하기

⊙ 구글 시트 또는 엑셀에 '예상 vs 실제' 예산 입력

⊙ 여행 중 실시간 기록으로 오차 줄이기

⊙ 여행 후 오버된 항목 보완해서 다음 여행에 반영

 

환율과 부가비용 고려

⊙ 환율: 환전 시점에 따른 차이로 예산 오차 발생

⊙ 세금 및 봉사료: 미국 및 동남아 일부 숙소와 식당에서 별도 부과

→ 식비와 숙소 예산에 최소 15~20% 여유 있게 잡기

 

유용한 추가 팁

⊙ 해외 결제 수수료 없는 카드 활용

⊙ 항공·숙박 예약 시 환불 규정 반드시 확인

⊙ 통신비(eSIM, 유심)는 기타 예산 항목에 포함

 


여행 예산은 원하는 여행 스타일을 명확히 하고 그에 맞게 예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과정이다. 한정된 예산 안에서 최고의 만족을 얻기 위해선 계획적으로 짜는 것만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여유도 함께 담아야 한다. 다음 여행을 준비 중이라면 이 글이 실전 예산 설계의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.